반응형
728x90
반응형
이번 포스트에서는 삼성전자의 실적을 살펴보고 3분기 배당금 정보를 정리해보겠습니다. 삼성전자는 1분기와 2분기보다 실적이 개선되고 있지만, 주가는 그에 비해 부진한 상태입니다. 반도체 업황이 호황을 맞이했으며, 지난 7월에는 4세대 HBM3를 엔비디아에 공급하기 시작했다는 소식도 있었습니다. 이러한 호재와 함께 실적도 개선되어, 7월 11일에는 올해 최고가인 88,800원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아래 재무제표에서 알 수 있듯이, 3분기 예상 영업이익은 12조 원, 예상 순이익은 10조 원으로, 1분기와 2분기 대비 상승한 수치입니다.그러나 9월 11일 기준 종가는 주당 64,200원으로, 올해 최고가 대비 약 28% 하락한 상태입니다. 이는 내년 말까지 반도체 호황이 지속될 것이라는 기대가 약해지고 있기..
2024년 SK하이닉스의 주가 상승세가 무섭습니다. 이러한 주가 상승의 가장 큰 요인은 전 세계 데이터 센터용 GPU 시장 점유율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는 엔비디아(NVIDIA)의 GPU에 들어가는 HBM을 SK하이닉스가 공급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SK하이닉스는 HBM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는 삼성전자의 점유율을 앞서는 수치입니다. 반도체 업계의 업황이 다시 좋아지고 있기 때문에 삼성전자 역시 주가가 상승했지만 엔비디아의 HBM 테스트를 아직 통과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주가가 지지부진했던 면이 있었습니다. 반대로 SK하이닉스의 경우, HBM을 이미 엔비디아에 납품하고 있으며, HBM3E로 불리는 향상된 성능의 제품의 도입을 엔비디아와 같이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주가는..
삼성전자는 업황의 부침에도 불구하고, 잉여 현금 흐름의 절반을 배당으로 환원하고 매년 9조 8천억 원의 배당을 진행하는 ‘3개년 주주 환원 정책’을 운영해왔습니다. 지난해 이 3개년 정책이 종료되었으나, 이를 2026년까지 3년 더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또한, 삼성전자는 1년에 4번 배당을 진행하며, 2022년부터 현재까지 분기별로 주당 361원의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주주들은 '삼성전자 배당조회 Web Service'를 통해 배당 내역을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하이퍼링크를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회원가입과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현재는 2024년 1분기 배당 내역을 조회할 수 있으며, 해당 조회는 6월 7일까지 가능합니다. 삼성전자 배당조회 Web Ser..
2024.03.17 - [종목/배당] - 2024년 삼성전자 1분기 배당금 배당락일 배당기준일 2024년 삼성전자 1분기 배당금 배당락일 배당기준일이번 포스트에서는 삼성전자의 배당금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배당금을 확인하기 전, 주가와 재무 상태에 대해서도 체크하겠습니다. 삼성 전자 주가의 경우, 작년 하반기에는 7만원대에서 등marketminds.tistory.com 지난 포스트에서는 1분기 배당금과 삼성전자의 메모리 기술 개발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2024년 2분기 배당금과 어제 발표된 HBM 관련 소식을 알아보겠습니다. 어제인 24일, 로이터 통신은 복수의 익명 소식통을 인용해 삼성전자가 미국 반도체 업체 엔비디아(NVIDIA)의 HBM(High Bandwidth Memory, ..
이번 포스트에서는 삼성전자의 배당금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배당금을 확인하기 전, 주가와 재무 상태에 대해서도 체크하겠습니다. 삼성 전자 주가의 경우, 작년 하반기에는 7만원대에서 등락하였으나, 올해 초 1월에 79,600원까지 상승했으며, 현재는 72,300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최근의 엔비디아가 주도한 반도체 상승 장세에서 하이닉스와 달리 삼성전자가 소외된 느낌을 받은 점은 매우 아쉽습니다. 이는 엔비디아의 GPU에 사용되는 HBM 메모리 기술 개발에서 삼성전자가 뒤쳐졌었던 점이 원인이었습니다. 엔비디아의 최신 GPU에 HBM 납품에 성공한 하이닉스의 주가는 최근 6개월 동안 35% 상승한 반면, 삼성전자는 약 3%만 상승하여 주가 측면에서 아쉬운 부분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삼성전..
삼성전자의 주가 회복세가 확실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작년 9월에 51,800원으로 하락한 삼성전자 주가는 이번 9월에는 7만원을 중심으로 등락하며, 22일 종가 기준으로 주당 68,800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작년 최저가 대비 약 33% 상승한 가격입니다. 2021년 초에는 주당 9만원 중반을 기록했던 삼성전자 주가가 2022년에는 5만원대로 급락한 이유는 반도체 업황의 부진 때문입니다. 2021년 여름에 모건스탠리가 언급한 '반도체 겨울' 예측과 일맥상통하게,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은 반도체 사이클 하락으로 2021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감소했습니다. 2021년 연간 영업이익을 기준으로 보면, 2022년 영업이익은 16% 감소했으며, 2023년 예상 영업이익은 8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