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28x90
반응형
하나금융지주는 국내 4대 금융 지주사 중 하나로 2024년 2월 금융지주사 중 브랜드평판 1위를 획득하기도 했습니다. 윤석열 정부의 저 PBR 정책과 함께 최근 금융주들이 주목받으며 최근 1개월간 주가가 크게 상승하였는데요. 우선 아래의 주가를 살펴보면 하나금융지주의 경우 약 3개월간 40%의 주가가 상승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재무를 살펴보면 여전히 PER은 4.76배, PBR은 0.42배로 주가가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PER과 PBR이 여전히 모두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3년의 연간 실적 또한 4.8조의 영업이익과 3.5조의 당기순이익을 거두며 최근 3년간의 지표와 비슷한 수치지만 매우 견조한 실적을 보여주었습니다. 코로나 사태 이후 금융주 실적에 대한 걱정을 모두 날려버리는 ..
대한민국의 2차 전지 대표 지주 회사 중 하나인 에코프로의 주가에 대한 내용은 이전 포스트에서 다뤘습니다. 이번에는 에코프로의 2023년 배당금과 배당락일, 그리고 주식 필수 보유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에코프로는 에코프로비엠의 수익성이 다소 감소했지만, 재무제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여전히 견조한 실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3년 영업이익은 4,789억원으로 2022년의 6,132억원에 비해 78% 수준이지만, 당기순이익은 오히려 2,606억원으로 2022년 대비 더 나은 결과를 기록했습니다. 배당금은 주로 당기순이익에 의해 결정되며, 배당 성향은 당기순이익 중 현금으로 배당된 비율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2023년에도 2022년과 비슷한 수준의 배당금이 예상됩니다. 인베스팅닷컴의 정보에 따르면..
SK텔레콤은 현재 기존 통신 사업에서 창출하는 수익과 높은 배당률로 주목받는 회사로서, 최근 AI 분야에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SK텔레콤은 1984년에 한국이동통신서비스로 설립되었으며, 1997년에 SK텔레콤으로 사명을 변경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SK텔레콤은 여전히 이동통신 시장에서 강한 입지를 유지하며, 알뜰폰의 강세에도 불구하고 전체 이동통신 점유율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분기별 실적은 꾸준히 2500억원에서 3500억원 사이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 연간 영업이익도 상승세를 보이며, 2023년에는 약 1.7조원의 영업이익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꾸준한 성과를 바탕으로 SK텔레콤 주식은 높은 배당률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재 SK텔레콤 주가는 5년 전과 유사한 수..
2023년 2분기를 넘어가는 시점에서, 금융주들의 주가와 배당금에 대해 살펴보아야 합니다. 신한금융지주는 2021년부터 분기별 배당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번 2분기에도 분기별 배당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배당은 기업의 이익을 주주들에게 분배하여 주주가치를 증대시키는 방식입니다. 배당은 일반적으로 현금 배당과 주식 배당으로 이루어지며, 현금으로 주주들에게 배당액을 지급하거나 추가 주식을 제공하여 주주들의 지분을 증가시킵니다. 시장에서는 신한지주의 2023년 2분기 주당 배당금(Dividend Per Share, DPS)을 약 525원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는 현재 주가인 34,650원에 대해 약 1.5%에 해당하는 금액입니다. 연간으로 계산하면 약 6%에 해당하는 배당 수익률로 볼 수 있습니다.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