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M] 해운업황의 악화와 인수 3파전

반응형

해운업을 형상화한 그림

현재 악화되고 있는 해운업황은 국내 대형 해운 회사인 HMM의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코로나19의 여파로 급증했던 해상 운임이 정상화되고, 글로벌 경제 위축으로 물동량이 줄어들면서 해운업황이 악화되고 있습니다. 이 사실은 상하이 컨테이너 운임지수(SCFI)와 발틱운임지수(BDI)에서 잘 보여주고 있는 현상입니다. 해상운임의 감소는 해운업의 매출과 영업이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참조: 한국관세물류협회 홈페이지 참조: https://www.kcla.kr/web/inc/html/4-1_3.asp)

상하이 컨테이너 운임지수(SCFI) 추세
발틱운임지수(BDI) 추세

이로 인해 HMM의 2021년 영업이익은 7조원을 기록하였고, 2022년에는 9조원을 돌파했었지만, 2023년에는 약 1조원 정도의 영업이익이 예상됩니다. 코로나 상황에 비해 영업이익은 매우 급감하였습니다. 따라서 2021년에 51,100원까지 상승하였던 주가는 현재 16,810원으로 70% 하락한 상태입니다. 현재 PER은 1.78배로 낮게 나타나지만, 영업이익이 회복되지 않는다면 PER이 급격히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주가가 저평가된 것으로 보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HMM 재무제표

HMM의 중요한 주주로는 한국산업은행(지분 20.69%)과 한국해양진흥공사(지분 19.96%)가 있습니다. 현재 한국산업은행은 HMM 지분 매각을 추진 중이며, 정부 역시 HMM을 연내 매각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습니다. 현재 인수전은 하림그룹, LX그룹, 동원그룹의 3파전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 세 그룹 모두 현금 여력이 부족하여, 자금 동원력에 의문이 있으며, 업계 관계자들은 이 그룹들이 HMM의 보유 현금을 이용해 차입매수(Leveraged Buy Out)을 추진할 가능성도 보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은 HMM의 주가에 더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 또한 있습니다. 또한, 현재 글로벌 경기가 불투명하며 중국 경제가 침체 중이기 때문에 HMM의 보유 현금이 인수에 사용된다면 자금이 필요한 시점에 사용할 수 없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과거 하림과 JKL 연합의 경우 팬오션을 인수한 뒤에도 피인수기업의 현금 자산을 활용한 전략을 사용한 바 있어, 이러한 시나리오는 신빙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현재 HMM 15조원의 보유 현금을 보유하고 있지만, 시가총액은 8조원으로 현금을 상회하지 못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 그러나 시가총액과 현금 보유액보다는 경제 상황 매각 의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매수 결정을 때는 경제 상황과 매각 이슈가 어떻게 진전되는지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시점입니다.

728x90
반응형